1. 실패의 수렁에 빠졌을 때
실패에 대한 관점
행복을 추구할 것인가? 불행을 피할 것인가?
제프 베이조스 (Jeff Bezos) "혁신과 발견을 하려면 실험을 해야 하는데, 성공할 것임을 미리 안다면 그것은 실험이 아니다."
요나는 뱃속에서 잘못을 깨달았다.
2 이르되 내가 받는 고난으로 말미암아 여호와께 불러 아뢰었더니 주께서 내게 대답하셨고 내가 스올의 뱃속에서 부르짖었더니 주께서 내 음성을 들으셨나이다
‘내가 받는 고난’
누구 때문에 이 고난이 발생했는가?
사탄이 공격? 다른 사람의 모함? 아니다. 요나가 순종하지 않아 생긴 어려움이다.
이것을 기억하는 것은 아주 중요하다
실패의 이유를 다른사람에게 돌리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 실패로부터 아무것도 배울 수 없다.
잘못한 것 보다 더 문제는, 잘못으로부터 아무것도 깨닫지 못하는 것이다.
요나의 깨달음
고난가운데 하나님께 기도하면 하나님께서 들으신다는 확신
이것은 하나님의 사랑에 대한 확신이다.
다윗에게도 이런 확신이 있었다.
(시편 18:6) "내가 환난 중에서 여호와께 아뢰며 나의 하나님께 부르짖었더니 그가 그의 성전에서 내 소리를 들으심이여 그의 앞에서 나의 부르짖음이 그의 귀에 들렸도다"
맹인을 고치는 것은 메시아의 표적이었다.
(이사야 42:7) "네가 눈먼 자들의 눈을 밝히며 갇힌 자를 감옥에서 이끌어 내며 흑암에 앉은 자를 감방에서 나오게 하리라"
예수님이 맹인을 고치기 전까지 유대인들은 맹인이 고침을 받는 것을 본적이 없다
한번도 경험하지 못한 상태에서도 ‘예수님이라면’ 고칠 것이라는 믿음이 있었다.
(마태복음 9:29) "이에 예수께서 그들의 눈을 만지시며 이르시되 너희 믿음대로 되라 하시니"
이들은 깊은 수렁에 빠진 자들이다.
실패하면 끝이라는 생각은 과대망상이다.
고3 수험생은 입시가 실패하면 인생이 끝이라고 생각한다.
실패라고 생각했던 것이 가장 선한길이라는 것을 깨닫게 된다.
인생에서 회복할 수 없는 실패는 없다.
죽음을 제외하고, 하지만 예수그리스도로 새 생명을 얻게 된다.
2. 죽음의 문턱에서 기억해야 할 분
고대사회에서 바다는 어둠의 세력, 두려움의 대상
요나는 바다 깊은 곳 까지 빠지게 되었다.
5 물이 나를 영혼까지 둘렀사오며 깊음이 나를 에워싸고 바다 풀이 내 머리를 감쌌나이다
죽음 직전 상황을 생생하게 묘사
6 내가 산의 뿌리까지 내려갔사오며 땅이 그 빗장으로 나를 오래도록 막았사오나 나의 하나님 여호와여 주께서 내 생명을 구덩이에서 건지셨나이다
요나는 산의 뿌리까지 내려갔다고 고백했다.
스올(Sheol)
(1) 죽은 자의 땅 (2) 무덤 (3) 죽음의 상태
이것이 요나의 믿음이고, 다윗의 믿음이었다.
이는 주께서 내 영혼을 스올에 버리지 아니하시며 주의 거룩한 자를 멸망시키지 않으실 것임이니이다 (시16:10)
하나님께서 그의 영혼을 스올에 버리지 않으실 것을 확신했다.
다윗은 하나님의 약속을 믿고 하나님의 주권을 믿었다
내가 하늘에 올라갈지라도 거기 계시며 스올에 내 자리를 펼지라도 거기 계시니이다(시 139:8)
내 인생이 추락하는 것 처럼 느껴져도 두려워하지 않는다.
세상에는 두가지 종류의 사람, 자신의 능력을 믿는 자가 있고 하나님의 주권을 믿는 자가 있다.
완벽주의자의 문제
(1) 비현실적 기준: 언제나 성공해야 한다
(2) 이분법적 기준: 완전한 성공 아니면 완전한 실패다
세상에는 절반의 성공도 있고, 의미있는 실패도 있다.
성공과 실패의 사이에 다양한 스펙트럼이 있다.
오히려 한번에 100% 성공해야 한다는 것은 비현실적인 기대이다.
1998년 사회 심리학 저널 미국 초등학교 5학년들을 대상으로 실험 똑똑하다고 칭찬받은 그룹 vs 노력한다고 칭찬받은 그룹 → 똑똑: 자기보다 낮은 학생의 답안지를 보고 위안을 얻음, 노력: 높은 학생들의 답안지를 보며 배우고자 했다.
이들은 모두 실패했지만 누가 더 성장할 것인가?
우리가 실패했을때 상황을 탓하거나 다른 사람을 탓할 필요가 없다.
한번의 실패가 우리의 정체성, 우리의 자존감을 말하지 않는다.
실패를 통해 우리 자신을 돌아보고 발전의 기회로 삼으면 된다.
이것이 올바른 실패를 향해 나아가는 방안이다.
인생은 우리의 능력을 증명하는 무대가 아니다
우리의 인생은 하나님의 주권을 경험하는 무대이다.
내 인생이 초라하다고 느껴져도 두려워하지 말라
건지시는 하나님의 손길을 경험하라
3. 기도 → 새로운 관점 → 새로운 방향
요나는 후회하거나 신세한탄을 하지 않았다.
7 내 영혼이 내 속에서 피곤할 때에 내가 여호와를 생각하였더니 내 기도가 주께 이르렀사오며 주의 성전에 미쳤나이다
요나는 생각했다. (히브리어 자칼, 기억했다는 의미)
그는 바다 깊은 곳에서 하나님을 기억했다. (구원과 약속을 기억)
하나님을 기억할 때 우리는 소망가운데서 기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세례요한의 아버지 사가랴
사가랴(Zechariah): 여호와께서 기억하신다.
‘하나님께서 우리민족을 버리셨구나’ 포기할 수 있는 어두운 상황에서 사가랴는 약속을 기억하며 살아갔다.
눅1:72 우리 조상을 긍휼이 여기시며 그 거룩한 언약을 기억하였으니
이스라엘 역사상 가장 어두운 시대를 살았지만 하나님의 약속을 기억하며 포기하지 않고 기도할 수 있었다.
기도로 인한 변화
관점의 변화(새로운 관점)
새로운 관점으로 인한 변화
방향의 변화(새로운 방향)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방향이다.
하나님으로 부터 멀어지는지 가까워지고 있는지
그 다음이 속도이다.
요나는 끊임없이 추락하고 있었다
바다 깊은 곳 까지 추락한 요나는 가장 낮은 곳에 추락했을때 여호와 하나님을 기억했다.
하나님께서 어떤 분이신지, 하나님의 구원과 약속을 기억했다.
바로 이순간이 요나 인생의 터닝포인트였다. 그 전까지는 아래로 추락하고 있었다.
하나님을 기억하고 하나님께 기도할때 일어났다.
기도 → 새로운 관점 → 새로운 방향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갈때
스티브잡스 제가 애플에서 배운 가장 중요한 교훈은 사람에 대한 장기적인 관점을 갖게 된 것입니다. 지금 당장 문제를 해결하는 것보다 훨씬 더 중요한 것은 성장 사람은 실패를 통해 성장한다.
어느정도 적당한 성장이 아니라 예수님을 닮기까지 성장
실패를 통해 문제르 ㄹ깨닫고 새로운
실패에 대한 새로운 관점
(1) 한번의 실패가 인생을 망치지 않는다
(2) 실패를 통해서 새로운 관점과 새로운 방향을 찾으면 된다.
9 나는 감사하는 목소리로 주께 제사를 드리며 나의 서원을 주께 갚겠나이다 구원은 여호와께 속하였나이다 하니라
인생은 우리의 능력을 증명하는 무대가 아니다.
인생은 하나님의 주권, 하나님의 능력을 경험하는 무대이다.
- 요나가 물고기 뱃속에서 그의 하나님 여호와께 기도하여 2 이르되 내가 받는 고난으로 말미암아 여호와께 불러 아뢰었더니 주께서 내게 대답하셨고 내가 스올의 뱃속에서 부르짖었더니 주께서 내 음성을 들으셨나이다 3 주께서 나를 깊음 속 바다 가운데에 던지셨으므로 큰 물이 나를 둘렀고 주의 파도와 큰 물결이 다 내 위에 넘쳤나이다 4 내가 말하기를 내가 주의 목전에서 쫓겨났을지라도 다시 주의 성전을 바라보겠다 하였나이다 5 물이 나를 영혼까지 둘렀사오며 깊음이 나를 에워싸고 바다 풀이 내 머리를 감쌌나이다 6 내가 산의 뿌리까지 내려갔사오며 땅이 그 빗장으로 나를 오래도록 막았사오나 나의 하나님 여호와여 주께서 내 생명을 구덩이에서 건지셨나이다 7 내 영혼이 내 속에서 피곤할 때에 내가 여호와를 생각하였더니 내 기도가 주께 이르렀사오며 주의 성전에 미쳤나이다 8 거짓되고 헛된 것을 숭상하는 모든 자는 자기에게 베푸신 은혜를 버렸사오나 9 나는 감사하는 목소리로 주께 제사를 드리며 나의 서원을 주께 갚겠나이다 구원은 여호와께 속하였나이다 하니라
'주일설교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옳은 실패(3) 실패를 인정하는 용기 | 사도행전 26:9-18 | 문대원목사 (0) | 2025.04.13 |
---|---|
옳은 실패(2) 성장을 위한 실패 | 마 13:22-33 | 문대원 목사 (0) | 2025.04.06 |
다시 생명사역(10) 멈추지 않는 열정 | 이사야 62:1-7 | 문대원 목사 (0) | 2025.03.30 |
다시 생명사역(9) 복음을 위해 흩어지는 교회 | 사도행전 13:1-3 | 문대원 목사 (1) | 2025.03.16 |
다시 생명사역(8) 상한 마음의 치유 | 눅 15:17-24 | 문대원 목사 (0) | 2025.03.09 |